세계적으로 교통안전규제가 강화되면서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가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의무화를 확대하여 ADAS용 카메라 수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대형 승합·화물차량에 대한 차선이탈경고시스템(LDWS), 긴급자동제어장치(AEB)의 의무장착이 법제화됐으며 미국은 2022년까지 모든 신규 차량에 AEB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인피니언의 조사에서는 현재 ADAS 보급률은 전체 신차의 약 19%이지만 2020년 35%, 2025년에는 절반을 넘은 59%, 2030년에는 71%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의무화 여부를 논외로 하더라도 후방카메라 옵션장착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고급차를 중심으로 SVM 및 측방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 등의 장착율이 높아지고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센서 탑재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또한 ADAS용 카메라 모듈 외에도 자동차 사고 방지 및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운전자 동작 인식, 상태 인식, E-미러 등 차량용 카메라 채택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율주행기술 발전과 함께 카메라 탑재량 증가
자율주행기술 레벨이 5단계에 가까워질수록 자동차 1대당 요구되는 카메라 수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컨설팅 그룹인 BCG는 레벨 3단계 수준에서 요구되는 카메라 수가 5-6개라면 레벨 4~5단계 수준에서는 최소 5개에서 최대 14개까지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 수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오토파일럿 기능으로 핫한 테슬라를 놓고 보면, 하드웨어 1 버전에서는 전방과 후방카메라 1대씩 총 2대의 카메라마 장착했지만 레벨 2~3 수준의 현 하드웨어 3버전에서는 총 8대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자율주행차 차량용 카메라 관련주 주식추천
차량용 카메라 관련주에 관심을 가져야할 이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 섹터에서 어떤 종목들이 추천할만할까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엠씨넥스
엠씨넥스는 카메라모듈과 관련 응용제품의 개발 및 생산을 주 영업목적으로 하며 휴대용·차량용 카메라모듈 및 블랙박스, 생체인식 등 기타모듈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엠씨넥스는 삼성전자에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있지만 현대 모비스 및 S&T 모티브 향으로 자동차용 카메라모듈도 공급 중입니다.
★ 참새씨 궁금증 ★
현대모비스는 엠씨넥스뿐만 아니라 세코닉스 등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공급받고 있음. 또 만도도 카메라 모듈을 아예 내재화해서 ADAS 시스템 자체를 현대모비스 향으로 공급하고 있는 것 같음. 만도가 카메라 모듈이랑 다 같이 납품하는거면 엠시넥스의 역할은 제한적인 것 아닐까? 그렇다면 경쟁사와 차별되는 엠씨넥스의 특별한 점은 뭘까?
또한 Geely(중국)의 세가지 모델에 공급 중이며 향후 엠씨넥스 차량용 모듈을 채택한 모델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참고로 Geely는 2010년 Volvo를 인수했으며 2018년 벤츠의 최대주주가 된 중국의 자동차 제조 기업입니다.
엠씨넥스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분야에서 차선이탈경보카메라(LDWS), 통신핸들조향연계 후방카메라(CAN), 졸음방지(DSM 카메라), 나이트비젼 등 단순 뷰잉(VIEWING) 기능을 넘어서 센싱(SENSING)기능이 추가된 카메라모듈로 진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참새씨 생각 ★
- ADAS 기술이 발전해가고 수요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 센싱 기능이 추가된 카메라 모듈 수요가 증가할 것. - 욜 디벨롭먼트도 차량용 카메라 시장에서 뷰잉카메라 보다 센싱카메라의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함.
현재 엠씨넥스 전체 매출에서 차량용 카메라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10% 이내이지만, 향후 휴대폰용 카메라 매출이 둔화되고 차량용 카메라 매출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는 휴대폰 카메라 모듈과 비슷한 정도의 매출이 기대됩니다.
과거를 돌이켜보면 2018년 중순쯤에 아이폰의 트리플 카메라 채택으로 삼성 갤럭시도 멀티 카메라를 채택할 것이라는 레포트가 나오기 시작했고 삼성전자가 2018년 4분기부터 멀티카메라를 도입하면서 2019년 휴대폰 카메라 모듈 업체들의 실적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7월 10,000원이었던 엠씨넥스 주가는 2019년 실적 정산이 마무리되는 4만원까지 치솟았는데 거의 4배 상승한 것입니다.
휴대폰용 카메라는 트리플 카메라를 넘어 쿼드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고 여기에 차량용 카메라의 추가 성장요인이 더해진다면 어떨까요?
자동차 시장은 핸드폰 시장보다 2배나 큰 시장인데차량용 카메라는 연 20%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차량용 카메라는 휴대폰용 보다 평균판매단가(ASP)가 3.5배 수준이기 때문에 차량용 카메라 매출이 본격화되는 시점부터는 영업이익이 급격히 좋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 참새씨 생각 ★
- 자율주행차로의 변화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고 이 시장의 성장성을 고려하면 차량용 카메라 매출이 휴대폰 카메라 모듈 매출을 뛰어넘을 수도 있지않을까 하는 시나리오를 써봄. 그러면 주가도 다시 한 번 퀀텀점프?
- 사람들이 아직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 지금이 투자의 적기가 아닐까? 여러 증권사 레포트를 살펴보니 휴대폰용 카메라 매출에 대해 관심이 쏠려있고 아직 자율주행차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은 없어 보임.
엠씨넥스의 제품별 자동차용 부품 생산능력을 보자면, 휴대폰용 부품과 아직은 비교할 단계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자동차용 부품의 가동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2020년 1분기에는 90%를 넘었습니다.이 추세가 계속되고 주문이 밀려들기 시작한다면 회사에서 공장 증설 등 투자를 하게 되겠죠. 가동률 추이를 지켜보면서 그 시점이 언제가 될까 지켜보는 재미가 있겠습니다.
아무리 시장이 좋더라도 회사가 경쟁력이 없다면 회사의 성장도 제한적일 것입니다. 엠씨넥스는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시장에서 어떤 입지를 가지고 있을까요? 자동차 카메라 모듈 시장점유율을 살펴보겠습니다.
휴대폰 카메라 모듈까지 합쳐서 보면 LG이노텍이 압도적입니다만 자동차 카메라 모듈만 떼어내서 보면, 엠씨넥스가 상당한 글로벌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업보고서를 살펴보니 엠씨넥스는 전장사업 관련 연구조직을 별도로 운영 중입니다. 회사에서도 향후 먹거리로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을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엠씨넥스의 ADAS 관련 연구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연구내용을 보니 졸음운전방지기능(DSM), 차선인식기능(LDWS) 등 ADAS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뿐만 아니라 스테레오 카메라, 라이다(Lidar), 3D 카메라 등 자율주행차 최신 센서 기술을 본격적으로 연구 중인 것이 눈에 뜨입니다.
센서 기술 측면에서 ADAS용 카메라는 하나의 렌즈를 사용하는 모노(Mono)카메라가 아닌두 개의 렌즈를 사용하는 스테레오(Stereo) 카메라가 대세입니다.
엠씨넥스의 사업내용을 쭉 살펴보니, 자율주행차 시대를 대비해서 차량용 카메라 기술을 실질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회사라는 느낌이 듭니다.
▣ 세코닉스
세코닉스는 2007년 차량용카메라 개발을 시작으로 MEGA급 디지털 카메라, 조향연동카메라, LDWS(차선인식), LKAS(차선유지지원), FCW(전방추돌경고), 이더넷 카메라, HBA(하이빔어시스트), DSM(운전자상태인식), 사이드미러리스 등의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HUD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이미 기술을 완성하여 현대모비스 및 해외 고객사와 추가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ADAS 시스템
세코닉스의 주요 제품 매출액 구성을 살펴보면 카메라 모듈이 주요 제품이라기 보다는 카메라 모듈에 들어가는 렌즈가 주요 매출 품목이 아닌가 싶습니다. 차량용 카메라 렌즈 매출을 별도로 공시하고 있지 않아서 파악이 어렵네요.
자율주행차에 탑재되는 영상 센서는 정확하게 차량, 차선, 도로 상황, 표지판 등을 인식해야 하기 때문에 고화소 카메라가 요구되는데 고화소가 요구될수록 렌즈 탑재량이 증가합니다.
그렇다면 세코닉스도 간접적으로 수혜를 받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제가 기술은 전문분야가 아니라 틀릴 수도 있습니다.
아래는 세코닉스의 자율주행차 차량용 카메라 관련 연구실적을 정리한 표입니다.
자료원: 세코닉스 사업보고서
▣ 아이쓰리시스템
아이쓰리시스템은 국내에서 최초로 적외선 영상센서의 개발 및 양산에 성공한 기업으로 적외선 영상센서 전문 제조업체입니다.
적외선 영상센서는 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Cooled Infrared Detector)와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Uncooled Infrared Detector)로 구분할 수 있는데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는 열형 영상센서(Thermal Image Detector)라고도합니다.
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를 주로 군용으로 활용되는 반면, 열형 적외선 영상센서인 비냉각형 센서는 소형 및 경량의 특성으로 인해 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자율주행차용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완전자율주행 수준으로 올라가려면 나이트 비전 카메라는 필수적으로 탑재되어야 되는데 나이트 비전을 위한 카메라로 열형 적외선 카메라(Thermal camera)가 사용됩니다. 최근 완성차 업체들도 기술 준비를 위해 나이트비전을 신차 옵션으로 탑재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이쓰리시스템은 현재까지 군수용 적외선 영상센서 매출이 높았지만 그 동안의 기술개발 결과를 바탕으로 2018년도 10월부터 2019년 7월 26일 까지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인 12㎛ 피치 신규제품 양산을 위한 100억원 투자를 완료하였습니다. 신규 공장은 연 200~300억원 수준의 매출이 가능한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2018년도 중 8㎛ 피치 비냉각형 적외선 영상센서 개발과제를 수주하여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이쓰리시스템의 기술수준은 상당히 높아 보입니다.
아이쓰리시스템은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 외에 다른 분야에서도 자율주행 시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산업부의 자율주행 관련 과제 수행 주관회사로 선정되어 보조금을 받고 개발 중이며,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군수용 레이저 레이더(LADAR) 센서모듈 개발 과제도 진행 중입니다.
적외선 센서 칩 개발 과제는 자동차의 야간 장애물 검지나 자동긴급제동(AEB)용 초소형 적외선 MEMS 칩 개발로 자율주행의 인지 기능을 담당합니다.
다음으로 LADAR(레이더) 모듈 기술연구에서 LADAR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ging)와 비슷한 원리를 가진 기술로 LIDAR 기술 확보에 성공한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상당히 독보적인 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옵트론텍
옵트론텍도 세코닉스와 비슷하게 차량용카메라의 광학렌즈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사업보고서에는 전장용 자율주행시스템(Level 4)에 적용되는 카메라 렌즈의 개발에 성공하여 공급을 진행 중 이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디에 공급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레벨 4 수준을 구현하는 업체가 구글 웨이모, GM 크루즈 등인데 옵트론텍과 관련있어 보이는 곳은 없어 보입니다.
2020년 1분기 현재 제품군별 매출비중을 보면 광학렌즈는 10% 내외의 비중이고 주로 이미지센서용 필터가 주 사업모델로 보입니다. 렌즈 필터 시장에서 글로벌 1위를 차지할 정도의 경쟁력이 있다고 합니다.
카메라에 들어가는 광학필터가 주요 제품이다 보니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을 생산하는 삼성전기가 최대 고객사이고 해성옵틱스, 파트론, 파워로직스, 엠씨넥스 등 여러 카메라 모듈업체가 주요 고객입니다. 매출처가 여러 곳으로 다변화되어 있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광학 필터 분야에서 기술력이 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2019년 초에 삼성전기가 테슬라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한다는 기사가 있었고 해당 카메라의 렌즈모듈을 옵트론텍이 공급한다고 했는데, 이 기사 자체가 신뢰성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에 진짜 그랬다면 기사가 여러군데에서 있을 법도 한데, '디일렉'이라는 곳에서만 기사를 썼고 증권사 레포트를 아무리 뒤져봐도 여기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다만 자동차용 카메라 시장이 아직 시장 초기이기 때문에삼성전기나 LG이노텍이 공격적으로 움직이고 있지 않지만 만약 이 대형 카메라 모듈 업체들이 자율주행차 카메라 시장에 진입한다면 옵트론텍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되기는 합니다.
여기까지 국내 카메라 관련 업체 중에 자율주행차 카메라 모듈이나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기업들 이외에 LG이노텍, 삼성전기, 디지털옵틱 등이 있지만 일부는 차량용 카메라 매출만으로 설명하기 힘든 대형기업이거나 제가 좋아하지 않아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그럼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이상으로 참새씨:)였습니다. 추후 괜찮아 보이는 기업이 있으면 업데이트 해보겠습니다.
최근댓글